[VOA]웜비어 고문 논란 다시 수면 위로…미국인 고문사례 주목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뒤 사망한 오토 웜비어에게 물리력이 가해졌을 것이라는 의료진의 소견이 최근 법원에 제출되면서 실제 고문이 있었는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북한은 과거에도 미국인 억류자들에게 고문과 폭력 등을 행사한 전력이 있지만 최근 억류자들은 그런 사실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미국인 억류자에게 폭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은 오토 웜비어 사건 이전에도 있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1968년 미 해군 정찰함 푸에블로호의 승조원들에게 가해진 고문입니다. 

당시 승조원 중 일부는 약 11개월의 억류 기간 동안 북한군으로부터 심한 폭행을 당했고, 허위 자백을 강요 받으면서 폭력에 시달렸다고 증언했습니다. 

미 터프츠 대학의 이성윤 교수는 웜비어 부모의 입장을 부연하기 위해 지난 10일 워싱턴 DC 연방법원에 제출한 진술서에서 “북한은 미국인 억류자들에게 폭력을 행한 전력이 있다”며 푸에블로호 승조원의 경험담을 소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북한 군인들은 미 승조원들에게 태권도를 하듯 때리거나 빗자루 막대, 벨트버클, 의자 등을 이용해 폭행을 가했습니다. 

이중 한 승조원은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의자를 높이 들거나, 막대기를 무릎 뒤에 꼽은 채 웅크리는 고문이 가장 힘들다고 진술하기도 했는데, 살해 협박까지 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다른 승조원은 팔이 묶인 상태에서 복부를 가격 당하고, 어깨와 팔을 발로 차이는 폭력 행위를 증언하기도 했습니다. 

이 교수는 아울러 1965년 북한으로 넘어간 미군 병사 찰스 젠킨스 역시 당시 한 방에서 감금생활을 했던 제임스 드레스녹으로부터 폭행을 당해 치아 손상을 입었던 사례도 소개했습니다. 젠킨스는 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북한이 드레스녹에게 자신을 폭행하도록 시켰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미국인에 대한 북한의 ‘고문’ 사례는 최근 들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지난 2012년부터 2년간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 씨가 최근 비망록 ‘Not Forgotten’ 을 출간했다. (자료사진)
지난 2012년부터 2년간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 씨가 최근 비망록 ‘Not Forgotten’ 을 출간했다. (자료사진)
지난 2012년부터 2년간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 씨.

​​약 2년간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케네스 배 씨도 25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억압이나 고문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케네스 배 씨] “제가 정신적으로 어렵게 한다든지, 집에 갈 수 없다, 앞으로 13년을 더 있어야 한다든지 하는 식의 그런 어렵게 만드는 것과...”

언제 풀려날 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이는 상황에 처했고, 이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지만 폭력을 당하진 않았다는 겁니다. 

2014년 약 6개월만에 집으로 돌아왔던 또 다른 억류자 제프리 파월도 25일 VOA에 같은 입장을 전했습니다.

[녹취: 파월] “At one point, the head interviewer...”

그러나 북한 측 조사관이 자신으로부터 원하는 답변을 듣지 못하면 억류 장소가 당시 호텔에서 훨씬 더 열악한 곳으로 옮겨질 수 있다는 협박을 당했다고 회고했습니다.

이 때문에 허위 진술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입니다. 

실제로 최근 몇 년 간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미국인들은 하나 같이 고문을 받지 않았다면서도 북한의 살해 협박이 있었다는 사실에는 동의했습니다. 

지난 2009년 불법으로 북한 국경을 넘었다 억류된 미국인 기자 로라 링 역시 하루하루 심문을 받아야 했고, 심리적으로 협박을 받는 등 ‘블랙홀’에 빠진 것 같았다고 당시 상황을 묘사했었습니다. 

이 때문에 여전히 웜비어에게 고문이 가해졌는지, 그렇다면 어떤 이유에서 고문이라는 상황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남습니다. 

앞서 웜비어가 북한으로 떠나기 전부터 그를 진료했던 치과의사들은 지난 10일 법원에 제출한 소견서를 통해 웜비어의 아랫니 2개의 위치가 과거와 크게 달라졌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기사원문보기]voakorea.com/korea/korea-politics/4629551